현재 일고 있는 고구려 열풍의 주역으로 치우천황 외에도 삼족오三足烏 깃발이 있죠.
삼족오란 발이 셋 달린 까마귀를 말합니다. 무엇을 상징하기에 주몽, 연개소문, 대조영 할 것 없이 삼족오 깃발을 민족의 상징인 양 그렇게 소중히 다루는 것일까요?
삼족오는 고구려 쌍영총·각저총을 비롯한 수많은 고분 벽화에 그려 있고 청자·불화 등 여러 곳에서 발견됩니다. 사학자들은 이것이 중국에서 탄생한 신화이고 고구려가 영향을 받았다고 하지만 삼족오는 처음부터 우리 것이었습니다. 고구려 이전, 즉 부여는 물론 고조선 때도 우리 문화 속에 존재했지요.
고려 최고의 명필가 이암의 저서 《단군세기檀君世紀》를 보면 8세 단군 우서한이 재위 중이던 갑인 7년(BC 1987년)에 “삼족오三足烏가 날아와 대궐 뜰 안으로 들어왔는데 그 날개 넓이가 석 자나 되었다.”라는 말이 나옵니다.
또 고구려 진파리 고분에서 출토된 ‘금구의 해(해뚫음무늬 금동장식품)’를 보면 둥근 원 안에 삼족오가 있고 원을 따라 12개의 점이 박혀 있습니다. 원은 태양이고, 12개의 점은 십이지지신을 뜻하지요. 십이지지신을 땅으로 데리고 온 분이 환웅이고, 그것에 이름을 붙여 준 분이 바로 치우천황입니다.
따라서 문헌상으로는 《단군세기》에 처음으로 존재하지만, 사실 삼족오는 환웅이 지상에 내려올 때 함께 내려온 3천 무리 중 하나이며, 반드시 태양과 관계 있는 새일 것입니다.
그런데 민족의 상징인 새가 왜 하필 까마귀일까요?
여기서 우리는 삼족오三足烏의 ‘오烏’의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실 우리 민족은 까마귀를 칭할 때 좀처럼 오烏라고 칭하지 않았다. 진짜 까마귀를 칭할 때에는 효조孝鳥라 하거나 혹은 오아烏鴉라 했다.
그렇다면 삼족오의 오烏는 까마귀를 뜻한다기보다는 까마귀처럼 검은 색, 즉 ‘검을 오烏’를 뜻하는 말이라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우리가 뼛속까지 검은 닭을 오골계烏骨鷄라 하고, 검은 대나무를 오죽烏竹이라 하고, 비석으로 쓰이는 검은 돌 흑요암黑曜巖을 다른 말로 오석烏石이라 하니, 우리에게 오烏는 까마귀가 아니라 ‘까마귀처럼 검은 색’을 뜻하는 말인 것이지요.
또한 까마귀가 아닌 증거를 또 들자면, 고구려 벽화에서 볼 수 있듯이 삼족오의 머리에는 볏이 있습니다. 세상에 볏 달린 까마귀가 어디에 있습니까. 볏 달린 신령神靈의 새는 동이족이 오랫동안 섬겨 왔던 봉황뿐입니다. 따라서 삼족오는 태양 속에 사는 검은 새, 볏 달린 봉황일 확률이 높습니다.
왜 태양 속에 사는 새가 검은 새일까요? 그것은 태양의 흑점과 일치합니다. 고대 사람들은 태양의 흑점을 보고 태양 속에 비단을 두른 검은 불새가 살며 그 새가 미래를 예언해 주는 태양신이라 믿었습니다. 그래서 삼족오는 고조선, 부여, 고구려 등에서 민족을 상징하는 깃발에 쓰였고, 고구려는 이를 국조로 삼았지요. 즉, 치우와 함께 삼족오는 고구려의 상징으로 쓰였던 것입니다.
'▒ 유익한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군 관련 史書, 日왕실도서관에 가득 (0) | 2007.11.21 |
---|---|
한족(漢族)의 비밀 (0) | 2007.11.21 |
전통문양등 이미지 (0) | 2007.11.21 |
일본에 있는 조선의 그릇들 (0) | 2007.11.21 |
기네스북에 오를 조선시대 인물들 (0) | 2007.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