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탈카메라는 정지화상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필름이 아닌 메모리등 기타 저장매체에 담는 장비라 할 수 있다 |
원리 |
|
렌즈를 통하여 찍힌 피사체는 CCD(Charged-Coupled Device)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전환되고 전기적 신호는 A/D 컨버터를 통하여 디지탈 신호로 전환된 후 보정과 압축과정을 거쳐 메모리에 저장된다 |
저장된 디지탈 정보는 각종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PC로 전송됨으로써 하나의 디지탈이미지가 만들어진다 |
|
|
CCD (CHARGED-COUPLED DEVICE) : 촬상소자. 전자 결합 소자 |
|
디지털 카메라는 전통적인 카메라의 광학과 메카니즘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렌즈로 부터 들어온 상은, 종래의 은염필름 대신에 화상센서인 CCD(Charge-Coupled Device)가 '빛'을 받아들여 '전자'로 변환시킨다.
카메라에서는 렌즈에서 들어온 상을 필름보다 작은 CCD상에 결상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CCD의 대형화와 함께 여러가지 광학계의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 CCD센서들은 크게 탈착식의 디지털백에 장착되어 기존의 아날로그카메라와 연결하는 방식을 채용하거나 또는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CCD센서의 기술, 작동 모드, 데이터 저장방식 등에 따라 적합한 용도가 결정된다 |
|
|
사용절차 |
디지탈카메라의 가장 큰 장점중의 하나는 그 결과물을 PC에서 바로 활용하기 쉽다는 것이며, 기존의 아날로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PC에서 활용하기까지의 각 단계를 비교하며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