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속 떡 박물관' 탐방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7.jpg)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8.jpg)
1층은 떡과 우리음료를 음미할 수 있는
떡카페 '질시루', 2층은 '떡박물관', 3층은 '부엌살림박물관', 그 윗층은 모두
전통음식을 만드는 교육관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9.jpg)
떡카페 '질시루'의 로고, 우리나라 전통 브랜드의 이미지가 느껴집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1.jpg)
내부는 조용한 음악이 흐르고,소품이 참 귀엽더군요.고전적인 이미지가 느껴집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3.jpg)
벽면의 유리장식이 매우 다정하고 따뜻한 느낌을 줍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4.jpg)
방금 나온 떡입니다. 어찌나 이쁜지…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5.jpg)
가지런히 먹기 편하게 개별 포장되어 있는 떡, 보기만 해도 너무 맛있어 보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6.jpg)
처음에는 카스테라인 줄 알고 착각했었습니다. 저게 떡이라니…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7.jpg)
외국 대통령께 대접되었다던 그 떡입니다. 너무 맛있어 보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8.jpg)
아이고 이젠 사진찍기 힘듭니다. 빨리 저 떡 먹고 싶어서요. 힘드네요.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9.jpg)
세상에 이게 떡이라니? 외국인에게 가장 인기있는 떡이라고 합니다.
무슨 푸팅인줄 알았습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0.jpg)
외국인들이 와서 가장 많이 사 간다는 떡 세트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2.jpg)
외국에 계신 분들에게 선물용으로 사가는 햇반 같은 전자렌인지에 데워먹는
즉석떡이라고 합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3.jpg)
금강산도 식후경. 도저히 참을 수 없어 일단 떡 정식 5,000원짜리 시키고,
사진부터 한장 찍었습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4.jpg)
가운데 붉은색이 바로 '김치'입니다. 우리의 전통식품을 가지고 전통식품을
만들었습니다. 우리 입맛에 딱이더군요.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5.jpg)
마지막으로 먹었던 이 요상한 설탕범벅인지, 조청범벅인지, 달지도 않으면서
고소한 참 오묘한 맛이었습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6.jpg)
그윽하면서 시원했던 모과차.맛있습니다.깔끔합니다.끝맛이 너무 시원했습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7.jpg)
이젠 밥 먹었으니, 박물관 관람. 밥 드시면 박물관 관람이 공짜랍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8.jpg)
옛날엔 이런 장독대에 고추장, 된장에, 땅속엔 김치를 묻어 놓고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9.jpg)
전통혼례를 지내는 것을 재연해 놓은 곳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30.jpg)
농촌의 일상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31.jpg)
예전엔 부엌이 모두 저렇게 생겼다고 합니다. 어머님들이 저 아궁이 앞에
앉아서 불 지피셨지요. 가마솥을 보니 누룽지가 생각나네요.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32.jpg)
설날 밥상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33.jpg)
추석 밥상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35.jpg)
나오면서 마지막으로 결혼 후 폐백 음식 구경도 한 번 해 보세요. 저게 다
오징어로 만든 작품이랍니다. 놀랍지요?
[ 출처 : 동아닷컴 ]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7.jpg)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8.jpg)
1층은 떡과 우리음료를 음미할 수 있는
떡카페 '질시루', 2층은 '떡박물관', 3층은 '부엌살림박물관', 그 윗층은 모두
전통음식을 만드는 교육관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9.jpg)
떡카페 '질시루'의 로고, 우리나라 전통 브랜드의 이미지가 느껴집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1.jpg)
내부는 조용한 음악이 흐르고,소품이 참 귀엽더군요.고전적인 이미지가 느껴집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3.jpg)
벽면의 유리장식이 매우 다정하고 따뜻한 느낌을 줍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4.jpg)
방금 나온 떡입니다. 어찌나 이쁜지…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5.jpg)
가지런히 먹기 편하게 개별 포장되어 있는 떡, 보기만 해도 너무 맛있어 보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6.jpg)
처음에는 카스테라인 줄 알고 착각했었습니다. 저게 떡이라니…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7.jpg)
외국 대통령께 대접되었다던 그 떡입니다. 너무 맛있어 보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8.jpg)
아이고 이젠 사진찍기 힘듭니다. 빨리 저 떡 먹고 싶어서요. 힘드네요.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19.jpg)
세상에 이게 떡이라니? 외국인에게 가장 인기있는 떡이라고 합니다.
무슨 푸팅인줄 알았습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0.jpg)
외국인들이 와서 가장 많이 사 간다는 떡 세트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2.jpg)
외국에 계신 분들에게 선물용으로 사가는 햇반 같은 전자렌인지에 데워먹는
즉석떡이라고 합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3.jpg)
금강산도 식후경. 도저히 참을 수 없어 일단 떡 정식 5,000원짜리 시키고,
사진부터 한장 찍었습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4.jpg)
가운데 붉은색이 바로 '김치'입니다. 우리의 전통식품을 가지고 전통식품을
만들었습니다. 우리 입맛에 딱이더군요.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5.jpg)
마지막으로 먹었던 이 요상한 설탕범벅인지, 조청범벅인지, 달지도 않으면서
고소한 참 오묘한 맛이었습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6.jpg)
그윽하면서 시원했던 모과차.맛있습니다.깔끔합니다.끝맛이 너무 시원했습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7.jpg)
이젠 밥 먹었으니, 박물관 관람. 밥 드시면 박물관 관람이 공짜랍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8.jpg)
옛날엔 이런 장독대에 고추장, 된장에, 땅속엔 김치를 묻어 놓고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29.jpg)
전통혼례를 지내는 것을 재연해 놓은 곳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30.jpg)
농촌의 일상입니다.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31.jpg)
예전엔 부엌이 모두 저렇게 생겼다고 합니다. 어머님들이 저 아궁이 앞에
앉아서 불 지피셨지요. 가마솥을 보니 누룽지가 생각나네요.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32.jpg)
설날 밥상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33.jpg)
추석 밥상
![](http://www.dkbnews.com/img/2006/10/123/7/35.jpg)
나오면서 마지막으로 결혼 후 폐백 음식 구경도 한 번 해 보세요. 저게 다
오징어로 만든 작품이랍니다. 놀랍지요?
[ 출처 : 동아닷컴 ]
'▒ 유익한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를 방문했던 외국의 대통령께 대접한 떡 (0) | 2007.07.18 |
---|---|
아름다운 세계의 지폐들 (0) | 2007.07.18 |
지구촌 기인 열전 (0) | 2007.07.18 |
신기한 발명품 62 가지 (0) | 2007.07.18 |
세계의 양주 (0) | 200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