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에 남겨진 개인정보 제거하기
인터넷 사용 내역 삭제하기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삭제하기 ① C드라이브에서 ‘Documents and Settings’에는 윈도우 사용자별로 익스플로러와 아웃룩 익스프레스, 그리고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환경설정 등이 저장되는 폴더들이 위치해 있다. 이 폴더에는 윈도우 사용자 계정의 이름별로 폴더가 제공된다. 이 폴더에서 내가 사용하는 사용자 이름을 더블 클릭한다. ② ‘즐겨찾기’에는 익스플로러에서 즐겨찾기로 등록된 사이트 목록이 기록되어 있다. ‘My Documents’는 내문서다. 우선 즐겨찾기를 더블 클릭해본다. ③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목록이 폴더와 사이트 URL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 모든 파일을 삭제하자. 삭제할 때는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고 바로 삭제되도록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예’를 클릭한다. ![]() 익스플로러의 쿠키 기록 삭제하기 쿠기(Cookies) 폴더에는 인터넷 서핑을 하며 기록해둔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 정보(사용자 아이디, 암호 등)가 저장되어 있다. 이 폴더에 저장된 모든 파일도 삭제한다. ![]() 익스플로러로 연결한 사이트 정보 삭제하기 ① Local Settings을 더블 클릭하면 ‘History’와 ‘Temporary Internet Files’이 나타난다. ‘Temporary Internet Files’에는 익스플로러로 연결해본 인터넷 사이트의 HTML 페이지와 각종 이미지, 플래시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이 폴더에 저장된 파일을 모두 삭제한다. ② 그리고 ‘History’를 더블 클릭한다. 익스플로러를 이용해 연결했던 사이트 목록이 날짜별로 정리되어 있다. 이 목록도 모두 삭제한다. ![]() 인스턴트 메신저에 기록된 정보 삭제하기 ① MSN 메신저에도 많은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우선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통해서 MSN 메신저로 로그인하는데 이 아이디와 암호가 MSN 메신저에 저장되어 있다. 이것을 삭제하려면 ‘제어판→사용자 계정’을 실행한다. ② 사용자 계정에서 ‘내 네트워크 암호 관리’를 실행하고 ‘Passport’라고 씌어진 항목을 모두 제거한다. 이곳에 기록된 아이디와 암호가 MSN 메신저에 로그인할 때 사용된다. ③ 그 외에 MSN 메신저에는 대화 내용을 저장하는 기능이 제공된다. 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메신저로 대화한 내용이 파일로 저장된다. 이 파일이 저장된 폴더의 위치를 찾아서 해당 파일을 모두 삭제해준다. ④ MSN 메신저로 다운로드 받은 전송 파일도 모두 제거해준다. 이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찾아서 말끔하게 삭제해준다. ![]() 개인 데이터 삭제하기 컴퓨터에 저장된 각종 개인 파일을 쉽게 없애려면 계정을 삭제하면 된다.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면 자동으로 해당 사용자가 남긴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열어본 페이지 목록과 전자우편 메시지는 물론 내 문서의 데이터까지 한꺼번에 모두 삭제할 수 있다. 만일, 이 같은 방법으로 일일이 삭제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계정을 통째로 삭제하여 개인 정보를 쉽게 삭제할 수 있다. 단 이렇게 계정을 삭제한 후에는 혹시나 남아있을 지 모를 하드디스크의 각종 개인 파일을 찾아서 추가로 삭제해줘야 한다. ![]() 사용자 계정 정보 삭제하기 ① 사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일일이 사용자 흔적을 없애는 것보다 사용자 계정을 통째로 없애버리면 한 번에 각종 개인 정보를 쉽게 없앨 수 있다. 윈도우XP를 사용하고 있다면 우선 새로운 계정을 하나 생성한 후에 기존에 내가 사용하던 계정은 통째로 삭제해버린다. 이렇게 하면 내 개인정보를 쉽고 간단하게 초기화할 수 있다. ② 삭제할 계정을 클릭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모든 계정을 이러한 방법으로 삭제해주고 새 계정을 하나 만들어두는 것이 가장 좋다. ③ '계정 삭제'를 클릭한다. ④ 계정을 삭제함과 동시에 그 계정 사용자가 사용하던 바탕화면, 내문서, 즐겨찾기, 전자메일 메시지와 각종 설정을 통째로 삭제하려면 이때 파일 유지가 아닌 '파일 삭제'를 클릭한다. ⑤ 모든 파일이 삭제되었다. 이제 '계정 삭제'를 클릭한다. ⑥ 계정이 삭제되었다면 이러한 방법으로 다른 사용자 계정도 모두 삭제한다. 그리고 새로운 계정을 하나 생성해준다. ⑦ 사용자 계정을 삭제한 후에는 내가 개인적으로 설치했던 각종 프로그램도 삭제한다. 특히 보안 유틸리티와 회사에서 설치해주지 않은 모든 프로그램은 삭제한다. 프로그램을 삭제할 때는 '제어판→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이용한다. ![]() 각종 개인 자료들 삭제하기 ① 대개의 파일들은 내문서라는 폴더에 저장돼 있다. 내문서에 저장된 파일 중에서 회사 업무를 위한 문서 외에 개인적으로 다운로드 받거나 저장한 음악, 영화, 이미지 파일은 모두 삭제한다. 내문서 외에 바탕화면이나 C, D 드라이브 등에 저장된 개인파일들은 빠짐없이 찾아서 삭제해주어야 한다. ② 일부 파일은 내문서가 아닌 다른 폴더나 드라이브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윈도우의 '시작→검색' 기능을 이용해서 확장자가 MP3, JPG, AVI 등으로 된 파일을 찾아서 삭제한다. ③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 보급이 늘어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 파일이 컴퓨터에 저장된 경우가 많다. 이들 파일도 잊지 말고 모두 삭제해야 한다. ④ 사실 이렇게 파일을 삭제하고 휴지통을 비우더라도 삭제된 파일을 복구해주는 유틸리티를 이용하면 금세 파일 복구가 가능하다. 보안상 외부에 절대 유출돼서는 안되는 파일인 경우에는 파일을 복구할 수 없도록 완벽하게 제거해주는 BCWipe와 같은 파일 삭제 유틸리티를 이용해야 한다. 이러한 유틸리티를 이용하면 완벽하게 파일을 삭제한다. ![]()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정보 각종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도 삭제해준다. 이러한 정보는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Application Data'에 기록돼 있다. 이곳에 기록된 모든 파일은 삭제한다. 또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Local SettingsApplication Data'에서 'Identities', 'Microsoft' 등의 폴더도 삭제한다. 'Identities' 폴더에는 전자우편 메시지가 기록되어 있으며, 'Microsoft'에는 아웃룩의 메시지와 주소록 등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공인인증서 삭제하기 사용자 정보를 삭제할 때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할 것이 공인인증서다. 인증서도 삭제를 해줘야 한다. 인증서를 삭제하려면 은행 홈페이지를 방문해서 '인증서 관리' 메뉴의 '인증서 삭제'를 이용한다. 혹은 공인인증서 홈페이지인 'www.signgate.com'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 | |
'▒ 컴퓨터자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시간 동영상 감상시 버퍼링 끊김문제 해결 (0) | 2007.06.01 |
---|---|
끝도 없이 열리는 인터넷창 한번에 닫기 (0) | 2007.06.01 |
컴사용후 흔적 지우는 법 (0) | 2007.06.01 |
내 PC는 내가 고친다(57개증상별) (0) | 2007.06.01 |
필수 프로그램 모음 (0) | 2007.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