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의학] 설탕은 건강을 위협하는 "적" 인가 ? |
---|
"나는 3백 식품은 잘 안먹어." "그게 뭔데?" "색깔이 흰 설탕, 밀가루, 조미료지." 식당이나 커피숍 등에서 이런 말을 가끔 듣는다.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들은 먹는 것에 예민하다. 비만,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성인병이 갈수록 증가하는 시대 상황도 먹는것을 고민하게 만든다. 특히 많은 이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설탕' 이다. 커피를 마실 때도 각설탕을 넣지않고, 주스도 무가당 주스를 고집한다. 설탕은 '건강을 위협하는 최대의 적' 일까? ◆ 설탕은 몸에서 어떤 역할을 하나? 설탕은 넓은 개념으로 당의 하나이다. 당은 다른 말로 탄수화물이다. 탄수화물이 많은 대표적인 식품이 밥이다. 따라서 설탕은 밥의 친척이다. 당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영양성분이다. 인체의 세포들이 서로 수많은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센서 역할을 하는 것이 당분이다. 당(포도당)은 또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 이다. 특히 뇌 활동에는 당만 에너지로 쓰인다. 식사 중에는 일반적으로 당분이 함유된 것이 가장 많은데, 그 이유는 가장 값싸게 열량을 얻을 수 있으며, 다소 많이 먹더라도 별로 해롭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인이 섭취하는 열량의 약 75%는 당분. 밥, 잡곡, 옥수수, 국수, 감자 등 탄수화물이 많은 식단 때문이다. ◆ 밥은 이롭고, 설탕은 해롭다? 밥과 설탕이 '가까운 친척' 이라면 의문이 생긴다. 밥은 꼭 필요하고 몸에 이롭다고 알고 있는데, 왜 설탕은 해롭다고만 하는가. 식품 중에서 가장 쉽게 포도당을 만드는 것이 설탕이다. 기력이 없는 사람이 포도당 주사를 맞거나, 등산ㆍ마라톤을 하다 저혈당에 빠진 사람이 설탕, 사탕, 초콜릿 등을 먹는 이유는 이들 음식이 당 흡수가 빨라 몸에 에너지원을 빨리 공급해주기 때문이다. 당은 크게 2가지 형태가 있다. 설탕과 같은 '단순당' 이 있고, 밥이나 감자 등에 든 전분처럼 '다당류' 가 있다. 몸에 흡수된 설탕은 '포도당' 과 '과당' 으로 분해된 다음 에너지원으로 옮겨진다. 설탕을 많이 먹으면 몸에 좋지 않다고 하는데, 이는 영양섭취 균형의 문제이다. 설탕이 대사 되는데 특히 필요한 비타민 B₁을 충분히 섭취 한다면 큰 문제는 없다. ◆ 설탕은 얼마나 먹어야 하나? 한국인의 설탕 섭취량은 세계 평균 수준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설탕을 지나치게 먹는 것은 아니지만, 소비증가율은 높은 편이다. 설탕 그 자체가 몸에 해롭지는 않다. 다만 지나친 경우에는 여러 문제를 일으킨다. 쓰고남은 당은 체내에서 지방으로 바뀌어 몸에 저장되면서 비만의 원인이 된다. 설탕이 체내에 흡수되면 혈당치가 오르기 시작하는데, 올라간 혈당치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 한다. 인슐린이 혈당치를 낮추면 배고픔을 느끼게 되며, 또 먹고싶은 생각이 들게돼 체중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 다. 설탕은 또 위액분비를 지나치게 촉진해 위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충치를 일으킨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당은 다당체(자연의 식품에 있는 당)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탕이나 포도당과 같은 단순당은 총 당질의 10%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건강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 암이라고 의심해야 할 위험신호 (0) | 2007.05.23 |
---|---|
[의학] 암예방을 위한 12가지 수칙 (0) | 2007.05.23 |
[의학] 에이즈(AIDS)란 무엇인가?감염 경로 .증상과 경과, 진단, 예방 (0) | 2007.05.23 |
[의학] 선천성 대사이상 질환이란? (0) | 2007.05.23 |
[의학] 흡연과 관련이 있는 질환들 (0) | 2007.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