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익한자료 ▒

간지(干支) 및 육갑(六甲)

천하한량 2007. 3. 27. 17:59


십이지에 해당하는 동물의 이름

자(子) : 쥐

축(丑) : 소

인(寅) : 범

묘(卯) : 토끼

진(辰) : 용

사(巳) : 뱀

오(午) : 말

미(未) : 양

신(申) : 원숭이

유(酉) : 닭

술(戌) : 개

해(亥) : 돼지

 

 

 

간지(干支) 및 육갑(六甲)

    간지는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로 구별이 되는데
    간(干)은 양(陽)에 속하고 지(支)는 음(陰)에 속하므로 간(干)은 하늘(天),
    지(支)는 땅(地)으로 통한다.
    그러므로 축문(祝文)에도 년ㆍ월ㆍ일은 간지(干支)로 쓰게 되어 있다.

 

 

     십간(十干)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申)

임(壬)

계(癸)

 

      십이지(十二支)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육십간지(六十干支)는 위의 '십간'과 '십이지'를 차례대로 조합한 것

 

갑자(甲子)

갑술(甲戌)

갑신(甲申)

갑오(甲午)

갑진(甲辰)

갑인(甲寅)

을축(乙丑)

을해(乙亥)

을유(乙酉)

을미(乙未)

을사(乙巳)

을묘(乙卯)

병인(丙寅)

병자(丙子)

병술(丙戌)

병신(丙申)

병오(丙午)

병진(丙辰)

정묘(丁卯)

정축(丁丑)

정해(丁亥)

정유(丁酉)

정미(丁未)

정사(丁巳)

무진(戊辰)

무인(戊寅)

무자(戊子)

무술(戊戌)

무묘(戊申)

무오(戊午)

기사(己巳)

기묘(己卯)

기축(己丑)

기해(己亥)

기진(己酉)

기미(己未)

경오(庚午)

경진(庚辰)

경인(庚寅)

경자(庚子)

경사(庚戌)

경신(庚申)

신미(申未)

신사(申巳)

신묘(申卯)

신축(申丑)

신오(申亥)

신유(申酉)

임신(壬申)

임오(壬午)

임진(壬辰)

임인(壬寅)

임미(壬子)

임술(壬戌)

계유(癸酉)

계미(癸未)

계사(癸巳)

계묘(癸卯)

계신(癸丑)

계해(癸亥)

 

 

 

 

십이지(十二支)로 시간을 따지는 법

    1지(支)는 지금 시간으로 2시간이며 초(初)와 정(正)은 1시간이다.
    또 지(支)마다 각(刻)이 있는데 1각(刻)은 15분이며 각 밑에 지금과 동일한 의미의 분(分)이 있다.

    하루를 2시간씩 12지(支)로 나누었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ㆍ자시(子時) : 오후 11시에서 오전 01시까지  ㆍ축시(丑時) : 오전 01시에서 오전 03시까지
ㆍ인시(寅時) : 오전 03시에서 오전 05시까지  ㆍ묘시(卯時) : 오전 05시에서 오전 07시까지
ㆍ진시(辰時) : 오전 07시에서 오전 09시까지  ㆍ사시(巳時) : 오전 09시에서 오전 11시까지
ㆍ오시(五時) : 오전 11시에서 오후 01시까지  ㆍ미시(未時) : 오후 01시에서 오후 03시까지
ㆍ신시(申時) : 오후 03시에서 오후 05시까지  ㆍ유시(酉時) : 오후 05시에서 오후 07시까지
ㆍ술시(戌時) : 오후 07시에서 오후 09시까지  ㆍ해시(亥時) : 오후 09시에서 오후 11시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