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시자료실 ▒

조선시대 방랑시인 김병연의 삶과 시

천하한량 2007. 2. 26. 01:46

 

 

김립    |  金笠    ( 1807 ~ 1863 )

조선시대의 방랑시인.


본관 : 안동
호 : 난고
본명 : 병연
별칭 : 속칭 김삿갓, 자 성심
활동분야 : 문학
출생지 : 경기  양주
주요저서 : 《김립시집》


 

 

 

 

본관 안동(安東). 본명 병연(炳淵). 속칭 김삿갓. 자 성심(性深). 호 난고(蘭皐). 경기 양주 출생. 1811년(순조 11) 홍경래의 난 때 선천부사(宣川府使)로 있던 조부 익순(益淳)이 홍경래에게 항복한 죄로 폐족(廢族)이 되었다. 당시 6세였던 그는 형 병하(炳河)와 함께 종이던 김성수(金聖秀)의 구원으로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 거기서 공부를 하며 성장하였다.

뒤에 사면을 받고 고향에 돌아왔으나 폐족자에 대한 천대가 심하고 벼슬길도 막혀 20세 무렵부터 방랑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는 즐겨 큰 삿갓을 쓰고 얼굴을 가리고 다녔으므로 삿갓이라는 별명도 여기서 생겼는데, 전국을 방랑하면서 도처에서 즉흥시를 남겼다.

그의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고, 그런 작품에 뛰어난 것이 많아 민중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방랑을 계속하여 전라도 동복(同福:전남 화순)에서 객사하였다. 작품으로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있다.

 

 

 

김삿갓의 시 (고풍)과 (호남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