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시전수 교육관
모시관 안내도
매기공방
토속관
한산모시관 안채
아채 시연공방
베틀에 앉은 여인
갈퀴
키
소쿠리
곰방매
괭이
고무래
한산모시관
주소: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지현리산60-1
찾아가는 길
열차편 :(장항선)서울역→ 수원→ 천안 → 홍성→대천 → 서천
(경부선)서울역→ 수원→ 천안 → 대전(버스) → 논산 → 서천
현지교통: 서천 버스터미널에서 한산행 버스 1일 44회 운행 (06:00~22:10)
한산모시관에서 정차함.
소 개
1. 특성 : 서천군의 대표적인 특산물인 한산세모시의 맥을 잇고
모시원산지를 명소로 가꾸어 한산모시의 우수성을 널리 홍보하고
군민의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건립하였으며 중요시설로는
모시각, 전통공방, 전수 교육관, 한산 소곡주 제조장, 사업시설,
어린이 놀이터등이 갖추어져 있다.
1991년 10월에 착공하여 1993년 8월 14일에 준공 및 개관하고 주요
시설물은 전수 교육관, 전통공방, 모시각, 소곡주 제조장, 상업시설, 야외
공연장, 어린이 놀이터 등이 있다.
2. 경치 : 한산모시관은 서천의 특산품인 한산세모시의 맥을 잇고 널리
홍보하는 차원으로 부지 25,712평에 전수 교육관233평, 전통공방137평,
모시각 6평, 주요상업시설물 750평, 소곡주 제조장 265평, 기타 24평등
야외 공연장, 어린이 놀이터를 시설하고 모시 짜는 여인상등 모시 및
향토 문화자료 250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특히 전수 교육관은 모시의 역사가 기록된 고증의 서적과 옛 베틀 및 모시
길쌈에 필요한 도구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한복, 양장을 비롯한 다양한
모시제품이 전시되어 있다. 전통공방에는 모시풀 재배에서부터 태모시
만들기, 모시삼기, 모시날기, 모시매기등을 재연하고 있어 모시제작
과정을 볼 수 있으며 서천군민의 뜻을 담아 250점의 향토문화자료를 수집
전시함으로서 조상들의 옛 생활상을 엿 볼 수 있는 좋은 학습장으로 관람
객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모시각은 한산모시의 원류를 찾고
풍성한 내일을 기원하는 서천군민의 마음을 하나로 묶어 한산모시를 처음
재배하던 건지산기슭에 세운 제당이다.
넓은 광장에서는 매년 모시문화제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서천의 전통문화의 육성발전은 물론 9만여 군민의 화합을 위하여 89년
처음 시작한 문화행사가 매년 다채롭게 개최된다. 저산팔읍 길쌈놀이
시연을 비롯 5일간 28개 분야 일정별 행사와 10개분야 특별기획
행사로 나누어 다양한 볼거리 문화행사의 시연을 통한 한산 세모시의
우수성을 널리 홍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0년 제11회 대회를 맞아 전국
18대 관광 문화제, 충청남도 3대 문화제로 지정되었으며 저산문화제를
알기 쉬운 모시문화제로 그 명칭을 바꾸고 군 단위 행사에 그쳤던 것을
국제적 행사로 발돋음하기 시작하였다.
'▒ 모시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모시짜기(韓山모시짜기) 중요무형문화재 제14호 (0) | 2007.01.09 |
---|---|
한산 세모시 짜기 시도무형문화재 제 1호 (0) | 2007.01.09 |
참고문헌 (0) | 2007.01.08 |
한산 모시짜기 전승 계보도 (0) | 2007.01.08 |
한산 모시 짜기의 정승현황 (보유자 방연옥 여사 ) (0) | 2007.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