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익한자료 ▒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6가지

천하한량 2016. 6. 15. 17:18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6가지 

 

 

인터넷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맞춤법을 바르게 사용하지 않는 것을 보게 됩니다.

아래에 틀리기 쉬운 우리말 맞춤법 6가지를 열거하였습니다.


1. 요/오

 

“꼭 답장 주십시요.”, “수고하십시요” 이런 말들은

모두 마지막의 “요”를 “오”로 바꿔 써야 맞습니다.

반면, “꼭 답장 주세요”, “수고 하세요”에서는 “요”가 맞는데,

세상만사가 그렇듯이 원리를 따지면 복잡하니 간단히 암기합시다.

말의 마지막에 “-시요”를 적을 일이 있을 때는 꼭 “-시오”로 바꿔 씁시다.


2. 데로/대로

 

“부탁하는 데로 해 주었다”, “시키는 데로 했을 뿐”은 틀린 말입니다.

“데로”를 “대로”로 고쳐야 맞습니다.

그러나 모든 “데로”가 다 틀리는 것은 아닙니다.

“조용한 데로 가서 얘기하자”의 경우는 “데로”가 맞습니다.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장소를 나타내는, 즉 “곳”으로 바꿔 말이 되는 곳은 “데로”,

이외의 경우에는 “대로”로 씁니다.


3. 음/슴

 

1988년부터 모든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뀌었습니다.

그러자 응용력이 뛰어난(?) 분들이 이 원리를 적용해

“밥을 먹었음”을 “밥을 먹었슴”으로 쓰기 시작하였습니다.

실로 통탄할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사슴”, “가슴” 등의 명사 말고 말 끝이 “슴”으로 끝나는 경우는 없으니,

말 끝을 “음”으로 바꿔 말이 되면 무조건 “음”으로 적읍시다.


4. 으로/므로

 

많이 틀리면서 외우기도 상당히 어려운 고난도 기술입니다.

어려움이 있더라도 꼭 연마해 두시기 바랍니다.

일단 맞게 적은 예를 봅시다.

“부재중이므로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 “때문에”의 뜻일 때는 “므로”

“편지를 보냄으로 대신한다.” → “-는 것으로”의 뜻일 때는 “ㅁ+으로”


따라서 “바쁨으로 깜박 잊었다”라든지, “혼잡함으로 후문을 이용해 주십시오”는

다 “므로”로 바꿔 써야 합니다.


이 둘을 확실히 구별하는 방법은,

“때문에”로 바꾸어 말이 되는지 보는 것입니다.

된다면 무조건 “므로”로 적어야 맞습니다.


추가정보 :

“그러므로” → “그렇기 때문에”

“그럼으로” → “그러는 것으로”

“일을 하므로 보람을 느낀다” → “일을 하기 때문에 보람을 느낀다”

“일을 함으로 보람을 느낀다” → “일! 을 하는 것으로 보람을 느낀다”


5. 되다/돼다

 

우리말에 “돼다”는 없습니다.

“돼”는 “되어”를 줄인 말이므로,

풀어보면 “되어다”가 되므로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반면, “됐다”는 “되었다”이므로 맞는 말입니다.

흔히 틀리는 경우가 “돼다”, “돼어” 등이 있는데,

감별하는 방법은 일단 “돼”라고 적으려 시도를 하면서, “되어”로 바꾸어 보면 됩니다.


“됐습니다” → “되었습니다”

“안 돼” -→ “안 되어”

(늘 줄여놓는 말만 써서 좀 이상해 보이지만 원형 대로 쓰면 이렇습니다.)

“ㄷ습니다” → “되었습니다”가 말이 되므로 “돼”로 고쳐야 하는 말.

“다 돼어 갑니다” → “다 되어어 갑니다” ×

“안 돼어” → “안 되어므로”


6. 안/않

 

부정을 나타낼 때 앞에 붙이는 “안”은 “아니”의 줄임말입니다.

따라서 “안 먹다”, “안 졸다”가 맞는 말입니다.


역시 부정을 나타내는 “않”은 “아니하-”의 줄임말입니다.

이 말은 앞말이 “무엇무엇하지”가 오고, 그 다음에 붙어서 부정을 나타냅니다.


“안 보다” → ? “아니 보다”

“안 가다” → ? “아니 가다”

“보지 않다” → “보지 아니하다”

“가지 않다” → “가지 아니하다”


“않 보다” → “아니하- 보다” ×

“않 먹다” → “아니하- 먹다” ×

“뛰지 안다” → “뛰지 아니” ×

“먹지 안다” → “먹지 아니” ×


이것을 외우려면,

부정하고 싶은 말 앞에서는 “안”, 뒤에서는 “않”으로 생각하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