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남성과 여성의 실제 은퇴 시기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늦은 것으로 조사됐다.
은퇴를 하고도 10년 정도 재취업을 해서 생계를 꾸려나가고 있다는 것으로 연금 등 사회안전망이 취약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노동연구원 배규식 사회정책연구본부장은 2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고령사회대책’ 토론회에서 OECD의 노화와 고용정책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07∼2012년 우리나라 남성의 실제 은퇴 연령은 71.1세였다고 밝혔다.
한국 다음으로는 일본이 69.1세, 스웨덴과 스위스가 66.1세, 미국 65세, 호주 64.9세 순이다. 벨기에(59.6세)와 프랑스(59.7세)는 60세에도 못 미쳤다. OECD 회원국 34개국 평균 은퇴연령이 70대인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OECD 평균 은퇴연령은 64.3세로 다른 회원국들은 대부분 공식 퇴직연령이 65세인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60세다.
한국 남성은 55∼65세 중고령자의 고용률 면에서도 OECD 회원국 가운데 2위를 기록했다. 2015년 OECD 고용전망을 보면 지난해 한국의 중고령자 고용률은 79.6%로 일본(81.5%)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이는 OECD 평균인 65.1%보다도 14.5%포인트나 높은 수치다. 벨기에(48.4%), 프랑스(48.9%), 스페인(51.2%)과 비교하면 30%포인트 이상 차이를 보였다.
한국 여성의 실제 은퇴연령도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한국 여성의 실제 은퇴연령은 69.8세로 일본(66.7세)과 미국(65세)보다 높았으며 OECD 평균 63.2세보다 6.6세 많았다.
다만 한국 여성의 중고령자 고용률은 52%로 OECD 평균인 49.1%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 교수는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근로빈곤층, 실직자, 여성에 대한 국민연금 수급권을 확대해 1인1국민연금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고, 정경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장은 “고령자에 대한 복지·고용 등 기본적인 사회안전망이 확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 은퇴와귀농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년퇴직 지나도.. '황혼 노동' 내몰린 반퇴세대 (0) | 2015.08.18 |
---|---|
은퇴후 귀농, 노후 생활비 걱정없이 사는 비법은 (0) | 2015.08.06 |
어느 양노원에 놓여있던 글 (0) | 2015.06.18 |
노후준비 현재의 생활만족도를 높여주는 희망입니다 (0) | 2015.06.12 |
자녀 생활고에 늙어서도 '부모노릇'하는 노인들 (0) | 201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