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문자료실 ▒

동자 이음어(同字異音語)

천하한량 2015. 1. 14. 20:36

<동자 이음어(同字異音語)>



◇ 降 

1. 내릴 강

降雨(강우) : 비가 내림. 또는 그 비.

昇降(승강) : 오르고 내림      

2. 항복할 항

降伏(항복) : ①적이나 상대편의 힘에 눌리어 굴복함. ②〖물리〗소성 변형을 할 때, 물체가 외부에서 가하여지는 힘에 저항하여 그 원형을 지키려는 힘을 잃고 변형이 생기려고 함. 또는 그런 상태. ③〖불교〗=조복

投降(투항) : 적에게 항복함


◇ 車 

1. 수레 거

車馬(거마) : 수레와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자동차 차

車票(차표) : 차를 타기 위하여 찻삯을 주고 사는 표
馬車(마차
) :


◇ 龜 

1. 이름 구

龜浦(구포) : 지명의 하나                

2. 거북 귀

龜鑑(귀감) : 거울로 삼아 본받을 만한 모범                       

3. 터질 균

龜裂(균열) : ①거북의 등에 있는 무늬처럼 갈라져 터짐. ②친하게 지내는 사이에 틈이 남. ③추위 따위로 손발이 터짐


◇ 更 

1. 다시 갱

更生(갱생) : ①거의 죽을 지경에서 다시 살아남. ②마음이나 생활 태도를 바로잡아 본디의 옳은 생활로 되돌아가거나 발전된 생활로 나아감. ③못 쓰게 된 물건이나 소용없게 된 물건을 손질하여 다시 쓸 수 있도록 함.

更紙(갱지) : 지면이 좀 거칠고 품질이 낮은 종이. 주로 신문지나 시험지로 쓴다.     

2. 고칠 경

更張(경장) : ①고쳐서 확장함. ②정치적‧사회적으로 묵은 제도를 개혁하여 새롭게 함. ③거문고의 줄을 팽팽하게 고쳐 맴.

3. 밤 시간 경

三更(삼경) : 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셋째 부분. 밤 열한 시에서 새벽 한 시 사이이다


◇ 見 

1. 볼 견

見聞(견문) : ①보고 들음. ②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一見(일견
) :          

2. 나타날 현

謁見(알현) : 지체가 높고 귀한 사람을 찾아가 뵘


◇ 金  
1. 쇠 금

金品(금품
) : 돈과 물품을 아울러 이르는 말
賞金(상금
) : 선행이나 업적에 대하여 격려하기 위하여 주는 돈.           
2. 성 김
金氏(김씨
) : 성씨의 하나


◇ 奈  
1. 어찌 나

奈落(나락
) : ①〖불교〗=지옥②. ②벗어나기 어려운 절망적인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어찌 내
奈何(내하
) : 『주로 한문 투의 문장 끝에서 '내하오' 꼴로 쓰여』 어찌함의 뜻을 나타내는 말.


◇ 茶  
1. 차 다

茶菓(다과
) : 차와 과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일찍 딴 차
紅茶(홍차
) : 차의 하나. 차나무의 어린잎을 발효시켜서 녹색을 빼내고 말린 것으로, 끓는 물에 넣으면 맑은 홍색을 띠고 향기가 난다. 주로 중국, 일본, 스리랑카 등지서 생산된다
葉茶(엽차
) : ①잎을 따서 만든 차. 또는 그것을 달이거나 우려낸 물. ②차나무의 어린잎으로 만든 찻감. 또는 그것을 달이거나 우려낸 물. ③한 번 우려낸 홍차를 다시 우려낸 멀건 차.


◇ 宅  
1. 집안 댁

宅內(댁내
) : 남의 집안을 높여 이르는 말.                        
2. 집 택
宅地(택지
) : 집을 지을 땅
住宅(주택
) : ①사람이 들어가 살 수 있게 지은 건물. ②〖건설〗=단독 주택.


◇ 度  
1. 법 도

度數(도수
) : ①거듭하는 횟수. ②각도, 온도, 광도 따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 ③일정한 정도나 한도. ④〖수학〗통계 자료의 각 계급에 해당하는 변량의 수량.
年度(연도
) : 사무나 회계 결산 따위의 처리를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일 년 동안의 기간          
2. 헤아릴 탁
忖度(촌탁
) : 남의 마음을 미루어서 헤아림


◇ 讀  
1. 읽을 독

讀書(독서
) : 책을 읽음.
耽讀(탐독
) : ①어떤 글이나 책 따위를 열중하여 읽음. ②어떤 글이나 책 따위를 유달리 즐겨 읽음.      
2. 구절 두
吏讀(이두) :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은 표기법. 신라 때에 발달한 것으로, 넓은 의미로는 향찰, 구결 및 삼국 시대의 고유 명사 표기 따위의 한자 차용 표기법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쓰나, 일반적으로는 한자를 국어의 문장 구성법에 따라 고치고 이에 토를 붙인 것을 이른다
句讀(구두
) : 구두법(句讀法).


◇ 洞  
1. 마을 동

洞里(동리
) : ①. 마을. ②지방 행정 구역의 최소 구획인 동(洞)과 이(里)를 아울러 이르는 말.
合洞(합동
) : 여러 동을 한 동으로 합침.      
2. 통할 통
洞察(통찰
) : ①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꿰뚫어 봄. ②〖심리〗새로운 사태에 직면하여 장면의 의미를 재조직화함으로써 갑작스럽게 문제를 해결함. 또는 그런 과정. ③〖심리〗심리 치료에서, 환자가 이전에는 인식하지 못하였던 자신의 심적 상태를 알게 되는 일.
洞燭(통촉
) : 윗사람이 아랫사람의 사정이나 형편 따위를 깊이 헤아려 살핌.


◇ 便  
1. 오줌 변

便所(변소
) : 뒷간, 화장실(化粧室)
小便(소변
) : 오줌, 소수(小手), 소용(小用), 소마, 소피(所避)       
2. 편할 편
便利(편리
) : 편하고 이로우며 이용하기 쉬움
郵便(우편
) : ①정보 통신부의 관할 아래 서신이나 기타 물품을 국내나 전 세계에 보내는 업무. ≒우체(郵遞). ②=우편물


◇ 復  
1. 회복할 복

復歸(복귀
) : 본디의 자리나 상태로 되돌아감
回復(회복
) : 원래의 상태로 돌이키거나 원래의 상태를 되찾음.    
2. 다시 부
復活(부활
) : ①죽었다가 다시 살아남. ②쇠퇴하거나 폐지한 것이 다시 성하게 됨. 또는 그렇게 함.  ③〖기독교〗십자가에 못 박혀 세상을 떠난 예수가 자신의 예언대로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난 일. 
復興(부흥
) : 다시 일어남


◇ 北  
1. 북녘 북

北進(북진
) : 북쪽으로 진출하거나 진격
南北(남북
) : ①남쪽과 북쪽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머리통의 앞과 뒤. ③별스럽게 또는 격

에 맞지 않게 툭 내민 부분.        
2. 패배할 배
敗北(패배
) : ①겨루어서 짐. ②=패


◇ 分  
1. 나눌 분

分裂(분열
) : ①찢어져 나누어짐. ②집단이나 단체, 사상 따위가 갈라져 나뉨. ③〖물리〗원자핵이 방사능과 열을 방출하면서 다른 원자핵들로 쪼개지는 현상. ④〖생물〗하나의 세포나 개체가 둘 이상으로 나뉘어 불어나는 무성 생식.
部分(부분
) : 전체를 이루는 작은 범위. 또는 전체를 몇 개로 나눈 것의 하나.       
2. 단위 푼
分錢(푼전
) : ‘푼돈’의 잘못.


 
1. 끓을 비

沸騰(비등
) : ①액체가 끓어오름. 액체가 어느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그 증기압이 주위의 압력보다 커져서 액체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기화하는 현상을 이른다. ②물이 끓듯 떠들썩하게 일어남. ③『북』열정, 정열, 기세 따위가 끓어 넘침.                        
2. 용솟음칠 불
彿水(불수) : 솟아오르는 물.


◇ 殺  
1. 죽일 살

殺生(살생
) : ①사람이나 짐승 따위의 생물을 죽임. ②〖불교〗십악의 하나. 생물을 죽이는 일을 이른다.
射殺(사살
) : 활이나 총 따위로 쏘아 죽임       
2. 감할 쇄
殺到(쇄도
) : ①전화, 주문 따위가 한꺼번에 세차게 몰려듦. ②어떤 곳을 향하여 세차게 달려듦. 
相殺(상쇄
) : ①상반되는 것이 서로 영향을 주어 효과가 없어지는 일. ②〖법률〗=상계(相計)


◇ 參  
1. 석 삼

參萬(삼만
) :   30,000                          
2. 참여할 참
參席(참석
) : 모임이나 회의 따위의 자리에 참여함.


◇ 狀  
1. 형상 상

狀況(상황
) : 일이 되어 가는 과정이나 형
狀態(상태
) : ①사물‧현상이 놓여 있는 모양이나 형편. ②〖물리〗자연현상의 관측에 의하여 가능한 한 완전히 기술된 계(系)의 존재 상황. 
2. 문서 장
狀啓(장계
) : 왕명을 받고 지방에 나가 있는 신하가 자기 관하(管下)의 중요한 일을 왕에게 보고하던 일. 또는 그런 문서
賞狀(상장
) : 상을 주는 뜻을 표하여 주는 증서.


◇ 索  
1. 찾을 색

索引(색인
) : ①어떤 것을 뒤져서 찾아내거나 필요한 정보를 밝힘. ②책 속의 내용 중에서 중요한 단어나 항목, 인명 따위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일정한 순서에 따라 별도로 배열하여 놓은 목록.
思索(사색
) : 어떤 것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고 이치를 따짐.       
2. 쓸쓸할 삭
索莫(삭막
) : 쓸쓸하다


◇ 塞  
1. 막을 색

塞源(색원
) : 근원을 아예 없애 버림
閉塞(폐색
) : ①닫혀서 막힘. 또는 닫아서 막음. ②겨울에 천지가 얼어붙어 생기가 막힘. ③운수가 막힘. ④〖교통〗=폐색 장치.       
2. 변방 새
塞翁之馬(새옹지마
) :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 設  
1. 말씀 설

說得(설득
) : 상대편이 이쪽 편의 이야기를 따르도록 여러 가지로 깨우쳐 말함.             2. 달랠 세
遊說(유세
) : 자기 의견 또는 자기 소속 정당의 주장을 선전하며 돌아다님.          

3. 기쁠 열
不亦說呼(불역열호
) :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 省  
1. 살필 성

省墓(성묘
) : 
反省(반성
) :        
2. 덜 생
省略(생략
) : 전체에서 일부를 줄이거나 뺌.


◇ 率  
1. 거느릴 솔

率先(솔선
) : 남보다 앞장서서 먼저 함
引率(인솔
) : 여러 사람을 이끌고 감    
2. 비율 률
能率(능률
) : ①일정한 시간에 할 수 있는 일의 비율. ②〖물리〗=모멘트


◇ 數  
1. 셀 수

數學(수학
) : ①〖수학〗수량 및 공간의 성질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대수학, 기하학, 해석학 및 이를 응용하는 학문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②〖교육〗교과목의 하나. 수량 및 공간의 성질에 대하여 배운다.
運數(운수
) : 이미 정하여져 있어 인간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천운(天運)과 기수(氣數).          
2. 자주 삭
頻數(빈삭
) : 자주   

3. 촘촘할 촉
數罟(수고
) : 촘촘한 그물


◇ 宿  
1. 잘 숙

宿泊(숙박
) : 여관이나 호텔 따위에서 잠을 자고 머무름. 
露宿(노숙
) : 한뎃잠          
2. 별 수
星宿(성수
) : ①이십팔수(二十八宿)의 스물다섯째 별자리. ②모든 별자리의 별들. ≒진수01(辰宿).


◇ 拾  
1. 주울 습

拾得(습득
) : 주워서 얻음
收拾(수습
) : ①흩어진 재산이나 물건을 거두어 정돈함. ②어수선한 사태를 거두어 바로잡음. ③어지러운 마음을 가라앉히어 바로잡음.       
2. 열 십
三拾(삼십
) : 30


◇ 食  
1. 먹을 식

食堂(식당
) : ①건물 안에 식사를 할 수 있게 시설을 갖춘 장소. ②음식을 만들어 손님들에게 파는 가게.                        
2. 밥 사
簞食瓢飮(단식표음
) : 도시락 밥과 표주박 물, 즉 변변치 못한 음식이라는 말로 매우 가난한 살림을 뜻함


◇ 識  
1. 알 식

識見(식견
) : 학식과 견문이라는 뜻으로, 사물을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이르는 말.
鑑識(감식
) : ①어떤 사물의 가치나 진위 따위를 알아냄. 또는 그런 식견. ②범죄 수사에서 필적, 지문, 혈흔(血痕) 따위를 과학적으로 감정함.   
2. 기록할 지
標識(표지
) : ①표시나 특징으로 어떤 사물을 다른 것과 구별하게 함. 또는 그 표시나 특징. ②〖철학〗다른 대상과 구별하여 어떤 대상을 확정하고, 그것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표상적(表象的) 또는 개념적 특성.
款識(관지
) : 글자 따위를 음각한 것과 양각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 什  
1. 열 십

什長(십장
) : ①일꾼들을 감독‧지시하는 우두머리. ②〖역사〗병졸 열 사람의 우두머리.                           
2. 가구 집
什器(집기
) : 집물(什物)


◇ 惡  
1. 악할 악

惡漢(악한
) : 악독한 짓을 하는 사람. 
懲惡(징악
) : 옳지 못한 일을 징계함.       
2. 미워할 오
憎惡(증오
) : 아주 사무치게 미워함. 또는 그런 마음.


◇ 樂  
1. 음악 악

音樂(음악
) : 박자, 가락, 음성 따위를 갖가지 형식으로 조화하고 결합하여, 목소리나 악기를 통하여 사상 또는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                        
2. 즐길 락 ;

樂園(낙원) : ①아무런 괴로움이나 고통이 없이 안락하게 살 수 있는 즐거운 곳. ②고난과 슬픔 따위를 느낄 수 없는 곳이라는 뜻에서, 죽은 뒤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좋아할 요
樂山樂水(요산요수
) : 산을 좋아 하고 물을 좋아함의 뜻으로 산수(山水)의 자연을 즐기고 좋아함.


◇ 若  
1. 같을 약

若干(약간
) : 얼마 되지 않음.                        
2. 불경 야
般若(반야
) : 〖불교〗 대승 불교에서, 만물의 참다운 실상을 깨닫고 불법을 꿰뚫는 지혜. 온갖 분별과 망상에서 벗어나 존재의 참모습을 앎으로써 성불에 이르게 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른다.


◇ 於  
1. 어조사 어

靑出於藍(청출어람
) :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탄식할 오
於乎(오호
) : 슬플 때나 탄식할 때 내는 소리.


◇ 葉  
1. 잎사귀 엽

葉序(엽서
) : 〖식물〗 잎이 줄기에 배열되어 붙어 있는 모양. 어긋나기, 마주나기, 돌려나기, 뭉쳐나기 따위가 있다. '잎차례'로 순화.
落葉(낙엽
) : ①나뭇잎이 떨어짐. 대개 고등 식물의 잎이 말라서 떨어지는 현상인데 한기나 건조기 등의 환경에 대한 적응으로 일어난다. ②말라서 떨어진 나뭇잎. '진 잎'으로 순화.  
2. 이름 섭
迦葉(가섭
) : 〖불교〗 '카시아파'의 음역어.


◇ 易  
1. 쉬울 이

難易(난이
) : 어려움과 쉬움.                        
2. 바꿀 역
不易(불역
) : 바꾸어 고칠 수 없거나 고치지 않음
貿易(무역
) : 〖경제〗 ①지방과 지방 사이에 서로 물건을 팔고 사거나 교환하는 일. ②나라와 나라 사이에 서로 물품을 매매하는 일.


◇ 咽  
1. 목구멍 인

咽頭(인두
) : 〖의학〗 식도와 후두에 붙어 있는 깔때기 모양의 부분. 
咽喉(인후
) : 〖의학〗 식도와 기도를 통하는 입속 깊숙한 곳. '목구멍'으로 순화.  
2. 목멜 열
嗚咽(오열
) : 목메어 욺. 또는 그런 울음


◇ 刺  
1. 찌를 자

刺戟(자극
) : ①외부에서 작용을 주어 감각이나 마음에 반응이 일어나게 함. 또는 그런 작용을 하는 사물. ②〖생물〗생체에 작용하여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일. 또는 그런 작용의 요인. ③〖심리〗유기체에 작용하여 반응을 일으킬 수 있거나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사상(事象). 좁은 뜻으로는 유기체의 수용기(受容器)에 작용하는 물리적 에너지를 이른다. 
諷刺(풍자
) : ①남의 결점을 다른 것에 빗대어 비웃으면서 폭로하고 공격함. ②문학 작품 따위에서, 현실의 부정적 현상이나 모순 따위를 빗대어 비웃으면서 씀.
2. 수라 라
水刺(수라
) : 궁중에서, 임금에게 올리는 밥을 높여 이르던 말


◇ 炙  
1. 구을 자

膾炙(회자
) :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                 
2. 고기구이 적
散炙(산적
) : ①쇠고기 따위를 길쭉길쭉하게 썰어 갖은 양념을 하여 대꼬챙이에 꿰어 구운 음식. ②=사슬산적.


◇ 抵  
1. 막을 저

抵抗(저항
) : ①어떤 힘이나 조건에 굽히지 아니하고 거역하거나 버팀.  ②〖경제〗주가의 오름세가 매도 세력에 의하여 견제되거나 멈추는 일. ③〖물리〗물체의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④〖물리〗=저항기. ⑤〖물리〗=전기 저항. ⑥〖심리〗정신 분석학에서, 환자의 무의식 속에 억압되어 있는 것이 의식으로 떠오르는 것을 거부하려고 하는 경향.
根抵當(근저당
) : 〖법률〗 장래에 생길 채권의 담보로서 저당권을 미리 설정함. 또는 그 저당권.
2. 칠 지
抵掌(지장
) : 손뼉을 치며 좋아함.


◇ 切  
1. 끊을 절

切迫(절박
) : 절실하고 간절하다
一切(일절
) : 아주, 전혀, 절대로의 뜻으로, 흔히 사물을 부인하거나 행위를 금지할 때에 쓰는 말      
2. 온통 체
一切(일체
) : ①모든 것. ②『'일체로' 꼴로 쓰여』 '전부' 또는 '완전히'의 뜻을 나타내는 말. 못.


◇ 辰  
1. 별 진

辰時(진시
) : 〖민속〗 ①십이시의 다섯째 시. 오전 일곱 시부터 아홉 시까지이다. ②이십사시의 아홉째 시. 오전 일곱 시 반부터 여덟 시 반까지이다

홉째 시. 오전 일곱 시 반부터 여덟 시 반까지이다. ≒진04(辰)②.
日辰(일진
) : ①날의 간지(干支). ¶②그날의 운세.          
2. 때 신
生辰(생신
) : ‘생일(生日)’을 높여 이르는 말.
星辰(성신
) : 


◇ 徵  
1. 부를 징

徵兵(징병
) : 〖법률〗 국가가 법령으로 병역 의무자를 강제적으로 징집하여 일정 기간 병역에 복무시키는 일
象徵(상징
) : ①추상적인 개념이나 사물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냄. 또는 그렇게 나타낸 표지(標識)‧기호‧물건 따위. ¶②〖문학〗추상적인 사물이나 관념 또는 사상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일. 또는 그 사물. 예를 들면 '비둘기'라는 구체적인 사물로 '평화'라는 추상적인 관념을 나타내는 것 따위가 있다.    
2. 음률 이름 치
宮尙角徵羽(궁상각징우) : 〖음악〗 동양 음악에서, 오음의 각 이름.


◇ 推  
1. 옮길 추 ;

推進(추진) : ①물체를 밀어 앞으로 내보냄. ②목표를 향하여 밀고 나아감.

推理(추리) : ①알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알지 못하는 것을 미루어서 생각함. ②〖논리〗=추론02(推論)    
2. 밀 퇴
推敲(퇴고
) : 글을 지을 때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고 다듬음. 또는 그런 일. 당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僧推月下門'이란 시구를 지을 때 '推'를 '敲'로 바꿀까 말까 망설이다가 한유(韓愈)를 만나 그의 조언으로 '推'로 결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則  
1. 법칙 칙

規則(규칙
) : ①여러 사람이 다 같이 지키기로 작정한 법칙. 또는 제정된 질서. ②〖법률〗헌법이나 법률에 입각하여 정립되는 제정법의 한 형식.                      
2. 곧 즉
先則制人(선즉제인
) : 앞서면 남을 제압한다


◇ 沈  
1. 잠길 침

沈沒(침몰
) : ①물속에 가라앉음. ②세력이나 기운 따위가 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擊沈(격침) : 배를 공격하여 가라앉힘.      
2. 성씨 심
沈氏(심씨
) : 성씨의 하나


◇ 拓  
1. 베낄 탁

拓本(탁본
) : 비석, 기와, 기물 따위에 새겨진 글씨나 무늬를 종이에 그대로 떠냄. 또는 그렇게 떠낸 종이. 탁본할 곳에 흡습성(吸濕性)이 있는 종이를 대고 물을 뿌려 붙인 후 거의 마르면 솜뭉치에 먹을 묻혀 두드리는 습탁(濕拓)과, 흡습성이 없는 얇은 종이를 대고 탁본용의 연한 인경먹으로 종이 위를 문지르는 건탁(乾拓)이 있다.                       
2. 열 척
拓植(척식) : 국외의 영토나 미개지를 개척하여 자국민의 이주와 정착을 정책적으로 촉진함.
開拓(개척
) : ①거친 땅을 일구어 논이나 밭과 같이 쓸모 있는 땅으로 만듦. ②새로운 영역, 운명, 진로 따위를 처음으로 열어 나감.


◇ 暴  
1. 나타낼 폭

暴露(폭로
) : ①알려지지 않았거나 감춰져 있던 사실을 드러냄. 흔히 나쁜 일이나 음모 따위를 사람들에게 알리는 일을 이른다. ②묻히거나 싸인 물건이 바람이나 비를 맞아 바램.ꄘ①까밝히다. 
2. 사나울 포
暴惡(포악
) : 사납고 악함.
橫暴(횡포
) : 제멋대로 굴며 난폭(亂暴)함


◇ 皮  
1. 가죽 피

皮革(피혁
) : 날가죽과 무두질한 가죽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가죽 비
鹿皮(녹비
) : 사슴의 가죽.녹비에 가로왈 사슴 가죽에 쓴 가로왈(曰) 자는 가죽을 잡아당기는 대로 일(日) 자도 되고 왈(曰) 자도 된다는 뜻으로, 사람이 일정한 주견이 없이 남의 말을 좇아 이랬다저랬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行  
1. 갈 행

行次(행차
) : 웃어른이 차리고 나서서 길을 감. 또는 그때 이루는 대열.
行列(행렬
) : ①여럿이 줄지어 감. 또는 그런 줄. ②〖수학〗여러 숫자나 문자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배열한 것. 배열한 숫자나 문자를 그 행렬의 성분 또는 원소라고 하고, 가로로 배열된 원소를 행, 세로로 배열된 원소를 열이라고 한다. ③〖컴퓨터〗같은 부품을 종횡으로 여러 줄 배열하고 그것들을 입력 도선과 출력 도선에 의하여 그물 모양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장치.         
2. 항렬 항
行列(항렬
) : 같은 혈족의 직계에서 갈라져 나간 계통 사이의 대수 관계를 나타내는 말. 형제자매 관계는 같은 항렬로 같은 항렬자를 써서 나타낸다
叔行(숙항
) : 아저씨뻘이 되는 항렬.


◇ 廓  
1. 클 확

廓正(확정
) : 잘못을 바로잡음.                          
2. 외성 곽
輪廓(윤곽
) : ①일이나 사건의 대체적인 줄거리. ②사물의 테두리나 대강의 모습.


◇ 滑  
1. 미끄러울 활

滑走路(활주로
) : 비행장에서 비행기가 뜨거나 내릴 때에 달리는 길
滑降(활강
) : ①비탈진 곳을 미끄러져 내려오거나 내려감. ②〖운동‧오락〗=활강 경기. 
2. 익살 골
滑稽(골계
) : 익살을 부리는 가운데 어떤 교훈을 주는 일.


◇ 提  
1. 들 제

提案(제안
) : 의안으로 내어 놓음. 또는 그 의안.                           
2. 깨달을 리
菩提樹(보리수
) : ①〖불교〗석가모니가 그 아래에서 변함없이 진리를 깨달아 불도(佛道)를 이루었다고 하는 나무. ②〖식물〗뽕나뭇과의 활엽수의 하나. 키가 약 30미터 정도 되고, 잎은 심장 모양이며 끝은 뾰족하고 광택이 있다. 꽃은 마치 없는 듯이 보이지 않고, 열매는 무화과와 비슷하다. 인도의 가야산에 나는 것을 신성시한다. 인도가 원산지이다.


◇ 諦  
1. 살필 체

諦念(체념
) : ①희망을 버리고 아주 단념함. ②도리를 깨닫는 마음.                       
2. 이치 제
眞諦(진제
) : 〖불교〗 ①진실하여 거짓이나 틀림이 없음. ②평등하고 차별이 없는 이치. ③공(空)과 평등의 참된 성질. ④삼제(三諦)의 하나. 오온(五蘊)의 제법(諸法)에 대한 미혹(迷惑)한 집착과 오온으로 만들어진 자아에 대한 집착이 없어질 때에 나타나는 진여(眞如)이다.


◇ 婆  
1. 할머니 파

老婆(노파
) : 늙은 여자                    
2. 세상 바
娑婆世界(사바세계
) : 불교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일컫는 말. 산스크리트 Saha에서 유래한 것으로, 음역하여 사하(沙河)·색가(索訶)라 하고, 의역하여 감인토(堪忍土)·인토(忍土)라 한다


◇ 布  
1. 펄 포

布告(포고
) : ①일반에게 널리 알림. ②국가의 결정 의사를 공식적으로 널리 알림. ③국제법상에서, 한 나라가 상대국에 대하여 전쟁을 시작한다는 통고를 하고 그 뜻을 내외에 알림.                          
2. 베풀 보
布施(보시
) : 〖불교〗 ①자비심으로 남에게 재물이나 불법을 베풂. ②불가에 재물을 연보함.


◇ 場  
1. 마당 장

場所(장소
) : 어떤 일이 이루어지거나 일어나는 곳.                       
2. 마당 량
道場(도량
) : 〖불교〗 부처나 보살이 도를 얻는 곳. 또는, 도를 얻으려고 수행하는 곳. 여러 가지로 뜻이 바뀌어, 불도를 수행하는 절이나 중들이 모인 곳을 이르기도 한다.


◇ 南  
1. 남녁 남

南北(남북
) : ①남쪽과 북쪽을 아울러 이르는 말. ¶②머리통의 앞과 뒤. ③별스럽게 또는 격

에 맞지 않게 툭 내민 부분.                        
2. 범어 나
南無(남무
) : 〖불교〗 '나무'의 음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