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계지덕(木鷄之德)
이병철 삼성그룹 전 회장은 자신의 집 거실에 목계(木鷄)를 걸어놓고, 자신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대로부터 어떠한 모욕을 당하더라도 흔들림이 없이 평정심을 유지해야 한다며 마음을 경계했다고 한다.
목계(木鷄)란 장자(莊子)의 달생편(達生篇)에 나오는 이야기로, 기원전 8세기경 중국 주나라의 선왕(宣王)은 닭싸움을 매우 좋아했다. 선왕은 당대 최고의 투계 조련사인 기성자(記成子)에게 최고의 싸움닭을 만들어 달라며 자신의 닭을 맡겼다.
열흘이 지나자 선왕은 닭싸움에 내보낼 수 있겠느냐며 기성자에게 물었다. 이에 기성자는 닭이 강하긴 하나 교만하여 자신이 최고인 줄 안다며 아직 멀었다고 답했다.
열흘이 또 지나자 왕은 이제 그 닭을 싸움판에 내 보낼 수 있겠느냐며 묻자, 기성자는 교만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의 소리와 행동에 너무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인내심과 평정심을 길러야 할 것 같다고 했다.
다시 열흘이 지난 뒤 왕은 이제 싸움에 내보낼 수 있느냐고 물었다. 하지만 기성자는 조급함은 버렸으나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이라 눈을 보면 닭의 감정상태가 다 보인다며 아직은 힘들다고 답했다.
싸움닭 조련을 맡은 지 40일이 지나자 기성자는 왕을 찾아왔다. 그는 왕에게 이제 다 된 것 같다며 상대방이 아무리 소리를 지르고 위협해도 반응하지 않고 완전히 편안함과 평정심을 찾았다고 보고했다. 그는 이어 마치 나무로 만든 닭(木鷄)처럼 어떤 닭이라도 바라보기만 해도 도망칠 것이라고 말했다.
장자는 이 고사에서 지도자의 조건으로 첫째는 자신이 제일이라는 교만함을 버려야 하고, 둘째는 상대방의 말과 위협에 민감하게 반응해선 안되고, 셋째는 상대방에 대한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려야 한다고 했다. 즉 교만함과 조급함, 그리고 성냄의 눈빛을 완전히 극복한 사람이 목계의 덕(木鷄之德)을 가진 지도자라는 것이다.
'▒ 고사성어집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제별 고사 (0) | 2014.12.16 |
---|---|
交友關係 四字成語 와 그 由來 (0) | 2014.08.31 |
고사성어(故事成語)(4) (0) | 2007.05.25 |
욕같은 고사성어들 ... 趙溫馬亂色氣 (조온마난색기) (0) | 2007.05.23 |
화장실 관련된 유모어 고사성어 (0) | 2007.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