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이지현기자][이강숙 가톨릭 의대 교수팀, 용종과 생활습관 관계 분석]
흡연, 음주, 운동, 비만 등의 생활습관이 대장 용종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은 대장 용종 발생 위험이 높았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은 이강숙, 임성은, 조현영 예방의학교실 연구팀이 2008년 1~12월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성인 1487명을 조사한 결과, 용종이 나타난 사람 중 운동을 전혀 안 하는 사람은 69.2%(338명), 주 1~2시간 운동하는 사람은 30.8%(173명)로 확인됐다고 9일 밝혔다.
이강숙 가톨릭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
흡연, 음주, 비만 역시 대장용종 유무에 영향을 미쳤다. 용종군의 경우 흡연자와 비흡연자 비율이 각각 71.1%(399명), 28.9%(162명)였고 비용종군은 45.8%(424명), 54.2%(502명)였다.
또 한 달에 3회 이상 음주를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비교한 경우 용종군은 82.3%(462명), 17.7%(99명)로 비용종군 42.4%(393명), 57.6%(533명)로 나타났다.
비만도 110% 이상(과체중)과 이하로 구분한 결과 용종군은 각각 53.3%(299명), 46.7%(262명), 비용종군은 47.0%(435명), 53%(491명)로 조사됐다.
이 를 바탕으로 대장용종 발생의 위험인자를 조사한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장용종의 위험은 1.03배 증가한 반면 운동 않는 사람은 하는 사람보다 9.24배,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2.35배, 음주자는 비음주자보다 5.22배로 높아졌다.
이 교수는 "조사 결과 대장 용종 위험도 증가는 생활습관 즉 운동, 흡연, 음주, 비만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며 "생활습관을 개선하면 대장암 전조인 용종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 전체의 37.7%인 561명에게서 용종이 발견됐다. 용종군의 평균 연령은 43세였으며 남성은 417명(74.3%), 여성은 144명(25.7%)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3배 많았다.
머니투데이 이지현기자 bluesky@
'▒ 건강자료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 건강음식 8가지 (0) | 2012.10.11 |
---|---|
몸이 아플때 먹으면 좋은 음식.. (0) | 2012.10.11 |
'통풍 환자' 젊은 남성 크게 늘었다…원인은? (0) | 2012.10.07 |
요리하던 주부, 새우에 종아리 찔렸는데… 경악 (0) | 2012.10.07 |
조기 발견 어려운 폐암, 체크리스트10 (0) | 201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