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표는 주차라인 상단의 왼쪽에서 4번째..노란차가 있는 곳입니다...
#2..사진에 보듯이 대부분의 주차장은 앞뒷 공간이 차량 하나 길이 정도 됩니다..
물론, 더 좁은 곳도 있을 테고..
더 넓은 곳도 있겠지만..일단, 현재 정도의 공간을 표준 삼겠습니다..
#3.. 쉽게 주차 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사진의 포인트는 1번 차량입니다..
대부분의 운전자 분들은 빈 공간이 있는 2번 쪽으로 차량의 전면부가 들어 갑니다..
그렇게 되면 차량의 방향을 잡기 위해 후진을 하는 경우 공간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전면 주차가 어려워 지는 겁니다..
주차 공간을 지나쳐서 옆라인에 있는 1번 차량의 후미까지 전진을 하셨다가
후진을 하게 되면 차량의 위치는 내가 주차 하려던 2번 공간의 앞이 되기 때문에..
단 한번의 후진으로 주차가 가능 하게 됩니다..
그러나, 상단과 하단간의 간격이 차량 한대의 공간도 안된다면..
조금만 응용을 하시면 됩니다..
즉...주차장 진입후 1번 차량뒤로 전진을 하게 되는데..
이때..아래 사진 보다 조금 더 왼쪽을 목표로 전진을 하신후..
후진을 하면..조금이라도 편하게 전진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설명이 어려우신가요?
#4..이렇게 하시면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시도하는 주차 방법입니다..
노란차가 진입을 하다가 주차 공간을 발견 합니다..
#5..
바로 차량의 전면부가 빈 공간으로 향합니다..
#6..
물론, 한번에 들어 갈수 없는 공간이라 후진을 시도 하게 됩니다..
사진속의 주차 공간이 넚고, 위에서 바라다 본 광경이라서 쉽게 들어 갈 듯 싶지만...
대부분 상당히 난해한 주차 방법입니다..
이 상태로는 후진도 전진도 막막할 따름입니다..
평행주차..또는 일렬 주차 라고 합니다..
주차를 어려운 순서대로 쓰면, 평행>전진>후진 주차가 되겠지요..
#1 상단에 두번째 노란차가 대상 차량입니다..
#2..
주차장에 진입 합니다..
#3.
빈자리 없나...두리번..
#4..
두리번 두리번..
#5..
드디어 빈 공간 발견..^^
#6
빈공간을 향하여..
#7..
여기서 부터 속도를 최대한 줄입니다..
#8
핸들을 우측으로 약간 꺽어서 빈공간을 향하여 조심스럽게 차량의 전면부를 집어 넣습니다.
#9
안전하다 싶을 때 까지 들어 갑니다..
#10
이 부분이 포인트 입니다..
속도는 최저 속도로,,,우측 조수석 문짝 부분을 잘 보면서 들어 갑니다..
요즘 자동차는 전동식 백밀러라서 우측 백밀러를 아래로 향하면 더 잘 보입니다..
#11
어느 정도 들어갔다가 다시 좌측으로 핸들을 돌려서 차량의 방향을 바꿉니다..
#12..
차량의 전면부가 좌측으로 바뀌기 시작 합니다..
#13..
차량의 방향이 좌측으로 바뀌었습니다
#14. 좌측 앞으로 계속 전진
#15
최대한 전진..
#16
이제는 핸들을 일자로 풀어서 후진을 시작 합니다.
#17
후진 중
#18
오른 쪽 검정 사인펜 부분과 형광색 차량의 좌측 후미 부분..
그리고 본인 차량의 오른쪽 전면 부분을 신경쓰면서 후진 합니다..
#19
검정 사인펜과 자동차와의 간격이 주차 시 공간 입니다..
어느 정도 떨어 져 있을 때 부터 핸들을 왼쪽으로 돌려주면 차량은 다시 평행하게 됩니다.
이때 형광차량과의 간격을 유의 하셔야 합니다..
#20
계속 핸들을 완전히 왼쪽으로 꺽으면서 후진을 하면 차량은 주차된 차량과 같은 평행이 됩니다
앞에 있는 형광 차량 조심..
#21
이렇게 주차 공간으로 들어 옵니다.
#22
차량이 평행해 졌으면 최대한 후진 합니다.
#23
검정색 부분과 너무 달라 붙었지요...
#24
전 후진을 한 두번 반복 하면 정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25
왔다 갔다..
#26..
최후에 차량을 정차 시킬 때는 중앙 보다는 조금 더 후진을 하시는 것이 나올 때 쉽게 빠져 나오 실 수 있습니다..
#27
전체를 보면서 다시 한번 감을 잡아 보시기 바랍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바로 빈 공간 쪽으로 차량의 일부분을 들여 넣었다가 다시 좌측으로 전진 한다는 것입니다.
사진 10번이 되겠네요..
몇번 해 보시면 감 잡히십니다..
초보운전, 주차 쉽게하는 법. 전면주차, 후면주차, 평행주차 공식!
초보운전일 때에 주행하는 것보다 힘든 것이 바로 주차인데요.
여성분이 마트에서 후진주차를 잘 못해서 왔다갔다를 반복하며 진땀흘리는 것을 보면,
대신 내려서 주차를 해 주고 싶을 정도로 주차하는 방법에 대해 힘들어 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그래서, 주차를 쉽게하는 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 보려고 합니다.
주차방식에 따라 후면주차, 전면주차, 평행주차로 나뉘어지는데, 각각의 주차에도
주차공식이 있으므로, 한 번 익혀놓으면 주차의 고수로 거듭 날 수 있습니다. ^^
1. 후면주차
후면주차는 보통 마트 주차장이나 공용주차장에 차를 세울 때 쓰이는 방법인데요. 차가 뒤로 도는 회전반경에 대한 감각을 기르지 않으면 정말 힘든 주차방법입니다.
만약에 뒤따르는 차량이 있을 때에는 정말 진땀을 빼게 되는 후면주차, 쉽게 공식으로 배워봅시다.
① 차와 주차선을 나란히 50cm미터 거리를 두고 진입하면서 차의 뒷 범퍼가 B차의 중앙에 오도록 합니다. (경차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차체 앞쪽이 B차의 오른쪽 칸 끝선에 맞춰도 됩니다)
② 핸들을 오른쪽 끝까지 감은 후, 후진 기어를 넣고 진입합니다. (조수석 뒷바퀴 위치쯤에서 B차와 부딧히지만 않으면 반대편 A차와 부딧히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③ 주차공간에 1/3정도 들어가면 옆 차와 수평이 되는데, 이 때에 핸들을 풀어서 옆 차와 수평을 이루며 후진합니다. (만약 A차쪽으로 부딧힐 것 같으면, 최대한 B차쪽으로 붙여서 후진하도록 합니다.)
④ 옆 차의 사이드미러와 내 차의 사이드미러가 거의 엇비슷해지면 후진을 멈춥니다. (단, 옆 차가 경차나 소형차라면 조금 앞에서 정차합니다.)
2. 전진주차 (T자 전진주차)
전진주차는 후진주차와는 감각적으로 다른데, 그 이유는 차량의 회전축이 앞쪽에 있기 때문입니다.
아파트 단지나 화단이 있는 주차장은 전면주차를 하도록 하는데, 많은 운전자들이 후진주차보다 전진주차를 더 어려워 합니다.
① 차량은 평행하게 진입하되 최대한 주차선에서 멀리 떨어져서(1m이상) 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내 차 사이드미러가 A차의 옆면과 일직선이 되면 핸들을 오른쪽으로 최대한 꺾어서 진입합니다.
③ 운전석쪽의 B차량과의 거리를 감안해서 최대한 B차량에 붙여서 진입하면, A차량과의 접촉사고가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④ 만약 잘못 진입해서 후진해야 할 경우에는 핸들을 반대로 꺾지 말고 정중앙에 넣고 빠지면 양쪽 옆의 차에 부딧히지 않고 뺄 수 있습니다.
3. 평행주차
골목길이나 도로상에 주차를 할 때에 주로 평행(일렬)주차를 해야 할 경우가 많은데, 초보운전자분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난이도가 바로 평행주차입니다.
위의 다른 주차와는 달리, 완전 공식화해서 외워버리면 신기하게 주차가 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잘 숙지해서 주차의 달인으로 거듭나시기 바랍니다.
① B차량과 1m 옆 간격을 두고 진입하고, B차량과 평행해서 정지합니다.
② 오른쪽으로 핸들을 완전히 꺾은 다음에 서서히 후진하면서 45도 정도로 되었을 때에 핸들을 완전히 풀어서 정중앙으로 만듭니다.
③ 오른쪽 사이드미러와 뒤를 돌아보아서 조수석 뒷 범퍼쪽이 벽에 닿지 않도록 후진합니다. (핸들은 그대로 둡니다.)
④ 조수석 앞 범퍼가 B차량의 뒷범퍼를 벗어나는 순간, 핸들을 완전히 반대로 왼쪽 끝까지 감아서 후진합니다.
⑤ 주차공간 안에 차가 들어가면, 앞 뒤 공간을 적당히 조절해서 핸들을 풀어서 바퀴를 풀어줍니다.
운전이 서툰 경우에는 주변인식 능력이 뒤떨어질 수 밖에 없으므로, 사고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습니다.
각종 교통규범과 안전수칙을 잘 숙지하고, 안전벨트 매는 것을 습관을 들여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구요
'▒ 자동차상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발명 그 자체보다 더 큰 변화를 가져오는 무인자동차가 가져올 거대한 변화. (0) | 2016.04.14 |
---|---|
우리나라 자동차 이름과 뜻 (0) | 2013.03.27 |
미니 자동차 (0) | 2011.04.03 |
안개등을 따로 켜는 이유는? (0) | 2008.03.08 |
겨울에 자동차 관리 (0) | 2008.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