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들이 공급 과잉으로 구직난에 빠졌다고 25일 한국경제신문이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1990년대 들어 한의대가 늘어나면서 매년 900명에 가까운 한의사가 새로 배출됐다. 대형 한방의료기관이 매년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은 최대 400여명 정도여서 500명가량은 중소 한의원에서 자리를 찾아야 했다.
상황은 2005년부터 더 악화됐다. 한방 수요가 줄어들면서 한의원들이 인력 구조조정을 벌여 부원장 없이 단독 진료하는 곳이 크게 늘었다. 한의대 졸업생들의 일자리는 그만큼 감소했다.
초
보 한의사는 일자리 찾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진료 경험이 많은 한의사 인력이 넘쳐나고 있어서다. 한의사 구직을 알선하는 한
컨설팅업체 관계자는 "한방병원에서 인턴 레지던트를 거쳤거나,개업했다 실패해 쉬고 있는 한의사 등 우수인력이 많아 초보 한의사를
아무도 채용하지 않으려 한다"고 한국경제에 설명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한방 비중 감소와 인력 과잉이 겹치면서
신규 한의사의 초봉도 크게 낮아졌다. 한의계에 따르면 2004년 월 500만원 선이 붕괴된 데 이어 지난해 300만원대로
떨어졌다. 20년 전인 1990년 월급 수준으로 추락한 셈이다.
낮은 월급에 실망한 예비 한의생들은 개업을
준비하지만 그마저도 여의치 않다는 분석이다. Y씨는 "한의원을 크게 차리면 개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도산하기 쉽고,작게 차리면
안정적이지만 임차료 등을 내고도 이익을 내는 월 800만원 수입이 힘들다"고 이 신문에 전했다.
금융권의 대출
규모 축소도 개업을 힘들게 하는 원인이다. 5년 전만 해도 신규 한의사들은 3억원 이상을 신용대출 받을 수 있었다. 최근엔
1억~2억원으로 낮아졌다. 국세청은 한의원들이 경영난에 빠지면서 은행이자 및 카드결제 연체가 늘어나는 등 30%가량이
신용불량자가 될 소지가 있다고 파악했다. 대한한의사협회 관계자는 "신규 한의사들에게 활로를 열어주기 위해 전기 · 저주파치료 등
한방 물리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를 확대하고 한의학적 진단명을 현대의학의 질병코드로 바꾸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이
신문에 말했다
'▒ 새로운소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 잘지내세요 (0) | 2010.02.11 |
---|---|
왜 나만? 저걸 그냥! 하루에도 몇번씩 사표 써보지만… (0) | 2010.02.01 |
역이민자들 `이제는 한국이 좋다 (0) | 2010.01.07 |
뉴욕 지역 한인사회 자살 증가 (0) | 2010.01.01 |
'박정희 행정수도' 기획, 오원철 전 경제수석 (0) | 200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