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記)
영주 회고정 기(寧州懷古亭記)
지정 기축년 윤달에, 내가 한주(韓州)로부터 영주(寧州)를 거쳐 서울로 가는데, 그 고을 군수 성군(成君)이 고을 정자의 이름을 짓기를 청하며 말하기를, “옛날에 우리 태조가 장차 백제를 치려 하는데 술자(術者)가 말하기를, ‘만일 왕자(王字) 성(城)의 세 용이 구슬을 다투는 땅에 군루(軍壘)를 쌓고 열병(閱兵)을 하면 삼한(三韓)을 통일하고 왕이 되는 것을 서서 기다릴 수 있다’ 하였다. 이에 풍수(風水)를 보아 이 성을 경영하고 군사 10만을 주둔시켜서 결국 능히 견씨(甄氏)를 취하였다. 그 주둔하여 군영(軍營)이 있었던 곳을 고정(鼓庭)이라 하는데, 군(郡)의 역사에 실려 있는 것이 이와 같다. 옛날에는 정자가 고정에 있어 관도(官道)를 굽어보고 있었으니, 이른바 구슬을 다투는 형세라는 것은 실상 집 아래에 있고 왕자(王字)라는 것은 그 산의 형체이다. 나는 그 정자가 황폐하고 더럽고 또 그 이름을 잃은 것을 안타깝게 여겨 이제 이미 옛날 것을 철거하고 확장하여 새롭게 하였으니, 바라건대, 이름을 지어서 사람들로 하여금 이 정자를 지은 것이 공연한 것이 아님을 알게 해 달라.”고 하였다. 나의 고향이 여기까지 겨우 3백여 리 밖에 안 되고, 이 곳을 지난 것도 진실로 여러 번이었으니, 영주라는 고을을 내가 잘 안다. 백성은 정해진 직업이 없고 아전은 정해진 거처가 없으니, 어느 겨를에 정자를 수리하겠는가. 병술년 봄에 사명을 받들고 왔었는데, 그 때에는 이군(李君) 귀을(龜乙)이 군수로 있었다. 황폐한 땅을 고쳐 밭을 만들고 가시덤불을 베어서 길을 내었으니, 나는 그가 훌륭한 관리임을 알았다. 지난해 가을에 또 근친(覲親)하러 돌아오니, 성군이 정사를 한 지도 반 년이나 되었는데, 이군이 다스리던 것과 비교하니 자못 월등하다. 부임한 지 두어 달 만에 백성의 사정을 모두 알아서, 이익이 되는 것은 일으키고 해가 되는 것은 힘써 없애고, 농사와 학문을 권면하고 세금을 고르게 하고 흉년을 구제하여 차례차례로 거행되니 백성들이 기뻐 복종하매 명령을 내리기를, “너희들은 너희들이 사는 곳의 유래를 아는가. 이 곳이 바로 왕업을 일으킨 땅이므로 태조의 신궁(神宮)이 이 곳에 있는데, 지금 그 대궐이 퇴락하여 위는 새고 옆은 뚫려서 신령을 편안히 할 수 없으니, 감히 돌아보고 흠향하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사람으로서 근본에 보답할 줄을 모르면 이것은 공손하지 못한 것이다. 관사(館舍)와 공청은 빈객을 받들고 관부(官府)를 존엄하게 하는 것인데, 지금 모두 황폐해졌는데도 수리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게으름을 보이는 것이다. 공손하지 못하고 또 게으르면 정해진 법이 있으니, 땅을 지키는 자의 책임뿐만이 아니라 비록 너희들 인민이라도 어찌 죽음을 면할 수 있겠는가.” 하였다. 이에 모두 말하기를, “명령대로 하겠습니다.” 하였다. 이에 온 고을 사람들이 호걸스럽거나 강한 자를 막론하고 집집마다 부역하여 고르게 부과하고 재목을 준비하고 기와를 구워서 먼저 신궁과 예전(禮殿)과 재실을 새롭게 하니 모두 높고 크고 화려하였다. 이에 신령의 자리를 편안히 하고 제사를 엄숙하게 지냈다. 다음으로 관사와 공청까지 수리하고, 짓고, 권하고, 감독하여 금년 농한기에 반드시 준공하여 하나도 완성되지 않은 것이 없게 하자고 기약하였다. 마침 국가가 정치를 새롭게 하는 첫머리로 지방 관리를 제수한다는 말을 듣고, 말하기를, “내가 갈 것이니 너희들도 공사를 쉬고 재목과 기와의 수를 모아서 써서 간직하고, 또 주장하는 자를 경계하여 잃어버리는 것이 없게 하여 새 관원을 기다려 내 뜻을 마치게 하라.” 하였다. 조금 뒤에 또 말하기를, “이 정자가 한 고을의 좋은 경치를 차지하고 사방으로 통하는 요충지에 있으니 짓지 않을 수 없다.” 하고는 날을 기약하고 이루었다. 아, 성군이 이 고을에 태왕의 끼친 사랑이 있으므로 나아가서 초상화를 우러러보고 엄숙한 창업의 모습을 공경하고 두려워하고 물러가 고정(鼓庭)에 노닐며 아득한 행군의 자취를 길이 생각하고 사모하였으니, 감히 그 마음과 힘을 다하여 근본에 보답하고 옛것을 회복하는 것을 일로 삼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그 시행한 것이 이와 같으니, 내가 그 때문에 회고(懷古)라는 것으로 그 정자를 이름지었다. 정자가 비록 작아서 쓸 것도 없으나 이것으로 인하여 그 나머지를 볼 수 있으므로 아울러 기록한다. 성군의 이름은 원규(元揆)요, 창녕 사람이니, 동한(東韓)의 명가(名家) 동암(東菴)의 외손이다. 이 달 9일에 기록한다.
'▒ 가정선생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記) 청풍정 기(淸風亭記) -이곡(李穀) - (0) | 2007.02.10 |
---|---|
기(記) 한주 중영객사 기(韓州重營客舍記) -이곡(李穀) - (0) | 2007.02.10 |
기(記) 동유기(東遊記) -이곡(李穀) - (0) | 2007.02.10 |
기(記) 주행기(舟行記) -이곡(李穀) - (0) | 2007.02.10 |
기(記) 신효사 신치 상주 기(神孝寺新置常住記) -이곡(李穀) - (0) | 2007.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