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남이상재 ▒

월남 이상재 선생과 대한민국 국호의 발안자 신석우

천하한량 2007. 1. 29. 18:17
국호(國號) 대한민국 발안자를 아십니까?

역사학자들 거의 몰라… 임정(臨政)서 신석우 선생이 제안

우리 국민 중에 '대한민국(大韓民國)'이라는 국호가

언제 누구에 의해 만들어졌는지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새삼 우리 국호의 창안자가 누구인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10여명의 근현대사 전공자들에게 질문했으나

뜻밖에 '모른다'는 대답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서울대 사회학과 신용하 교수가 정확히 알고 있었다.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탄생한 상해임시정부의 국호였으며

1948년 8월 15일 건국과 함께 계승한 우리의 국호이다.

1919년 4월 10일 오후 10시

중국 상해 프랑스 조계(組界)의 김신부로(金神父路)에 있는 허름한 셋집.

밤을 새워 열린 임시정부 첫 의정원(오늘날의 국회)의 가장 중요한 안건은

국호의 결정이었다.

처음 '대한민국'이란 명칭을 제안한 사람이 신석우(申錫雨. 1894-1953).

그러나 논란이 만만치 않았다.

여운형 의원이 반대했다.

"대한(大韓)이란 말은 조선 왕조 말엽 잠깐 쓰다가 망한 이름이니

부활시킬 필요가 없다"는 이유였다.

그러자 신석우가 되받았다.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흥하자."

결국 표결에 부치기로 했고, 다수결로 '대한민국' 국호가 채택됐다.

어떻게 많은 역사전공자들조차

대한민국 국호의 발안자를 모르고 있는 것일까?

한 소장역사학자는

우리 역사학계가 거시적 흐름을 중시하다 보니

개개의 사안과 관련된 인물들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자연히 '신석우'란 인물에 대한 연구나 일반의 인식도 낮을 수밖에 없었다.

신석우는 1920-30년대 민족운동 과정에서 화려하게 드러나진 않았지만

중요한 고비마다 결정적 역할을 했던 거목이었다.

임시 의정원 기사록에 따르면

신석우는 국호 제정 말고도 임정 관제에 군무부(軍務部)증설,

임정 초대 총리에 이승만 추천,

임시헌장에 병역(兵役) 포함 등을 관철시키는 등

초기 임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한국의 언론사에서 굵직한 흔적을 남긴 것은

1924년 30세의 나이에 만석꾼 부친을 설득해 8만5천원을 주고

조선일보를 인수한 것이었다.

만성적인 경영난을 겪고 있던 조선일보는

신석우의 인수로 재도약 계기를 마련했으며

사장으로 민족의 스승 월남(月南) 이상재(李商在) 선생을 추대하는 등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다.

신석우의 활약은 일제하 최대의 민족운동인 신간회 활동에서 결정에 이른다.

1927년 2월 15일 오후 7시 서울 종로 기독교 청년회 대강당에서 열린

신간회 창립총회에서

신석우는 사회를 맡았고

벽초(벽초) 홍명희가 개회를 선언했으며

이어 이상재가 회장으로 추대됐다.

처음에 이상재 선생이 사양하자

신석우는 "신간회 회장이 되시는 것이 그렇게도 겁이 나십니까"라며

간곡히 설득해 추대를 성사시켰다.

신간회 창립 때 간부 및 발기인은 모두 51명이었다.

그중 조선일보계가 사장 부사장 편집국장 등 9명으로 가장 많았다.

1931년 5월 신간회가 해산되자 신변에 위험을 느낀 신석우는

민세(民世) 안재홍 선생에게 사장직을 물려주고 상해로 탈출했다.

신용하 교수는

아마도 전 재산을 쏟아 부으면서 펼쳤던 독립운동이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는데 대한 실망도 적지 않았을 것으로 분석하면서

그러나 대한민국이라는 국호 제정이야말로

신석우라는 이름을 반드시 기억해야 할 이유라고 밝혔다.

1948년 7월 1일 국회에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결정합니다